새소식

개발 공부 일지/웹

도메인 연결하기

  • -
반응형

도메인을 구매한다는 것은, 네임서버를 운영해주는 업체에, IP와 도메인 매칭 유지비를 내는 것이다.

한국 또는 글로벌 업체 어디든 상관없지만, 전에 가비아에서 구입한 도메인을 연결해보자.

DNS 설정

DNS 설정 클릭

호스트 이름에 @, IP주소에 IP주소를 입력하기!

ip 주소를 입력하고 저장 클릭

네임서버에 내 도메인-IP가 매칭 되는 시간이 필요하므로 10분 정도 기다리자.

기다리는 동안 내 IP주소로 지금 flask 서버가 잘 돌고 있는지 확인해 보자.

아이피로 접속한 모습
도메인으로 접속한 모습

og 태그 만들기

스파르타 피디아에서 배웠던 og:image, og:title, og:description 태그를 이용해보자.

만들었던 프로젝트도 카톡/페이스북/슬랙에 공유했을 때 예쁘게 나오도록, 미리 꾸며보자.

공유 화면

static 폴더 아래에 이미지 파일을 넣고, 각자 프로젝트 HTML의 <head>~</head> 사이에 아래 내용을 작성하면 og 태그를 개인 프로젝트에 사용할 수 있다.

og 태그 넣기

<meta property="og:title" content="내 사이트의 제목"/>
<meta property="og:description" content="보고 있는 페이지의 내용 요약"/>
<meta property="og:image" content="이미지URL"/>

태그 입력한 모습
종료를 시켜준다.
파일 삭제 하기
파일을 다시 업로드 해주기
다시 실행해주기
공유할 때 모습

og 태그 초기화 하기

이미지를 바꿨는데 이전 ogimage가 그대로 나올 때 어떡해야 할까?

ogimage가 그대로 나오는 이유는 페이스북/카카오톡 등에서 처음 것을 한동안 저장해놓기 때문이다.

 

공유 디버거 - Facebook for Developers

공유 디버거를 사용하면 Facebook에 공유될 때 콘텐츠가 표시되는 모습을 미리 보거나 오픈 그래프 태그를 사용하여 문제를 디버깅할 수 있습니다. 이 도구를 사용하려면 Facebook에 로그인하세요.

developers.facebook.com

 

카카오계정 로그인

여기를 눌러 링크를 확인하세요.

accounts.kakao.com

 

반응형

'개발 공부 일지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hup 설정하기  (0) 2022.09.27
Flask 서버 실행해보기  (0) 2022.09.27
서버 세팅하기  (0) 2022.09.27
프로젝트 서버에 올리기  (2) 2022.09.26
버킷리스트 - 프로젝트 세팅  (2) 2022.09.26
Contents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