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 서비스를 만든다는 건, 클라이언트와 서버 모두 만들어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클라이언트와 서버 앱 서비스, 웹 사이트 클라이언트에서 원하는 데이터가 있을 때마다 서버에 요청하고, 응답 데이터를 받아 사용자에게 보여준다.(데이터를 주고받는 관계) 클라이언트(프론트) 클라이언트는 사용자가 보는 화면이다. 웹 사이트로 따지면 크롬 브라우저나 사파리, 익스플로러가 해당되겠고 앱으로 따지면 휴대폰에 많이 존재하는 어플, 즉 앱 자체가 해당된다. 서버(백앤드) 서버는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가 있는 곳이고, 원하는 데이터를 요청하면 이에 응답해주는 곳이기도 합니다. 앱과 리액트 네이티브 앱 개발이라고 하면 단연 "안드로이드"와 "iOS(아이폰)" 두 가지가 떠오른다. 안드로이드는 Java&Kotlin이라는 기술로..
앱 서비스의 기본 동작 구조
앱 서비스를 만든다는 건, 클라이언트와 서버 모두 만들어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클라이언트와 서버 앱 서비스, 웹 사이트 클라이언트에서 원하는 데이터가 있을 때마다 서버에 요청하고, 응답 데이터를 받아 사용자에게 보여준다.(데이터를 주고받는 관계) 클라이언트(프론트) 클라이언트는 사용자가 보는 화면이다. 웹 사이트로 따지면 크롬 브라우저나 사파리, 익스플로러가 해당되겠고 앱으로 따지면 휴대폰에 많이 존재하는 어플, 즉 앱 자체가 해당된다. 서버(백앤드) 서버는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가 있는 곳이고, 원하는 데이터를 요청하면 이에 응답해주는 곳이기도 합니다. 앱과 리액트 네이티브 앱 개발이라고 하면 단연 "안드로이드"와 "iOS(아이폰)" 두 가지가 떠오른다. 안드로이드는 Java&Kotlin이라는 기술로..
2022.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