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
"웹서비스 론칭"에 필요한 개념 소개 내가 만든 프로젝트를 배포해보자. 배포는 누구나 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작업들이고, 웹 서비스를 론칭하는 것! 웹 서비스를 론칭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항상 응답해줄 수 있는 서버에 프로젝트를 실행시켜준다. 언제나 요청에 응답하려면? 컴퓨터가 **항상** 켜져 있고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있어야 하고, 모두가 접근할 수 있는 공개 주소인 공개 IP 주소(Public IP Address)로 나의 웹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서버는 그냥 컴퓨터라는 거 기억나시죠? 외부 접속이 가능하게 설정한 다음에 내 컴퓨터를 서버로 사용할 수도 있다. AWS라는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편하게 서버를 관리하기 위해서 항상 켜 놓을 수 있는 컴퓨터인 EC2 ..
프로젝트 서버에 올리기"웹서비스 론칭"에 필요한 개념 소개 내가 만든 프로젝트를 배포해보자. 배포는 누구나 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작업들이고, 웹 서비스를 론칭하는 것! 웹 서비스를 론칭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항상 응답해줄 수 있는 서버에 프로젝트를 실행시켜준다. 언제나 요청에 응답하려면? 컴퓨터가 **항상** 켜져 있고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있어야 하고, 모두가 접근할 수 있는 공개 주소인 공개 IP 주소(Public IP Address)로 나의 웹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서버는 그냥 컴퓨터라는 거 기억나시죠? 외부 접속이 가능하게 설정한 다음에 내 컴퓨터를 서버로 사용할 수도 있다. AWS라는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편하게 서버를 관리하기 위해서 항상 켜 놓을 수 있는 컴퓨터인 EC2 ..
2022.09.26 -
우리 눈에 보이진 않지만, 사실 DB에는 Index라는 순서로 데이터들이 정렬되어 있다. 예를 들어 교보문고에 가서 책을 찾을 때 꽂힌 방법대로 찾아야 쉽게 찾을 수 있는 것과 같다. Database는 잘 뽑아 쓰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다. DB는 프로그램과 같은 것으로 내 컴퓨터에 게임도 설치하고, PPT도 설치하고, DB도 설치할 수 있는데, 이 마저도 요새는 Cloud 형태로 제공해주는 곳들이 많다. 유저가 몰리거나 / DB를 백업해야 하거나 / 모니터링 하기가 아주 용이하기 때문이다!(요새 트렌드는 클라우드) DB의 두 가지 종류 RDBMS(SQL) 행/열의 생김새가 정해진 엑셀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과 유사하다. 데이터 50만 개가 적재된 상태에서, 갑자기 중간에 열을 하나 더하기는 어려울 것이..
DB는 왜 쓰는 것일까?우리 눈에 보이진 않지만, 사실 DB에는 Index라는 순서로 데이터들이 정렬되어 있다. 예를 들어 교보문고에 가서 책을 찾을 때 꽂힌 방법대로 찾아야 쉽게 찾을 수 있는 것과 같다. Database는 잘 뽑아 쓰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다. DB는 프로그램과 같은 것으로 내 컴퓨터에 게임도 설치하고, PPT도 설치하고, DB도 설치할 수 있는데, 이 마저도 요새는 Cloud 형태로 제공해주는 곳들이 많다. 유저가 몰리거나 / DB를 백업해야 하거나 / 모니터링 하기가 아주 용이하기 때문이다!(요새 트렌드는 클라우드) DB의 두 가지 종류 RDBMS(SQL) 행/열의 생김새가 정해진 엑셀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과 유사하다. 데이터 50만 개가 적재된 상태에서, 갑자기 중간에 열을 하나 더하기는 어려울 것이..
2022.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