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
-
웹스크래핑 결과를 DB에 저장해보자! 크롤링 완성 코드(hello.py 코드 내용) import requests from bs4 import BeautifulSoup # URL을 읽어서 HTML를 받아오고, headers = {'User-Agent' : 'Mozilla/5.0 (Windows NT 10.0; Win64; x64)AppleWebKit/537.36 (KHTML, like Gecko) Chrome/73.0.3683.86 Safari/537.36'} data = requests.get('https://movie.naver.com/movie/sdb/rank/rmovie.naver?sel=pnt&date=20210829',headers=headers) # HTML을 BeautifulSoup이라는 라..
웹스크래핑 결과 저장과 사용웹스크래핑 결과를 DB에 저장해보자! 크롤링 완성 코드(hello.py 코드 내용) import requests from bs4 import BeautifulSoup # URL을 읽어서 HTML를 받아오고, headers = {'User-Agent' : 'Mozilla/5.0 (Windows NT 10.0; Win64; x64)AppleWebKit/537.36 (KHTML, like Gecko) Chrome/73.0.3683.86 Safari/537.36'} data = requests.get('https://movie.naver.com/movie/sdb/rank/rmovie.naver?sel=pnt&date=20210829',headers=headers) # HTML을 BeautifulSoup이라는 라..
2022.09.13 -
우리 눈에 보이진 않지만, 사실 DB에는 Index라는 순서로 데이터들이 정렬되어 있다. 예를 들어 교보문고에 가서 책을 찾을 때 꽂힌 방법대로 찾아야 쉽게 찾을 수 있는 것과 같다. Database는 잘 뽑아 쓰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다. DB는 프로그램과 같은 것으로 내 컴퓨터에 게임도 설치하고, PPT도 설치하고, DB도 설치할 수 있는데, 이 마저도 요새는 Cloud 형태로 제공해주는 곳들이 많다. 유저가 몰리거나 / DB를 백업해야 하거나 / 모니터링 하기가 아주 용이하기 때문이다!(요새 트렌드는 클라우드) DB의 두 가지 종류 RDBMS(SQL) 행/열의 생김새가 정해진 엑셀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과 유사하다. 데이터 50만 개가 적재된 상태에서, 갑자기 중간에 열을 하나 더하기는 어려울 것이..
DB는 왜 쓰는 것일까?우리 눈에 보이진 않지만, 사실 DB에는 Index라는 순서로 데이터들이 정렬되어 있다. 예를 들어 교보문고에 가서 책을 찾을 때 꽂힌 방법대로 찾아야 쉽게 찾을 수 있는 것과 같다. Database는 잘 뽑아 쓰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다. DB는 프로그램과 같은 것으로 내 컴퓨터에 게임도 설치하고, PPT도 설치하고, DB도 설치할 수 있는데, 이 마저도 요새는 Cloud 형태로 제공해주는 곳들이 많다. 유저가 몰리거나 / DB를 백업해야 하거나 / 모니터링 하기가 아주 용이하기 때문이다!(요새 트렌드는 클라우드) DB의 두 가지 종류 RDBMS(SQL) 행/열의 생김새가 정해진 엑셀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과 유사하다. 데이터 50만 개가 적재된 상태에서, 갑자기 중간에 열을 하나 더하기는 어려울 것이..
2022.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