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2
-
전에 만들었던 팬명록 완성본을 filezilla로 EC2에 업로드해보자. 파일질라에서 homework 폴더 안에 app.py 파일, static, templates 폴더를 컨트롤키를 누른 상태에서 선택하고 드래그 드롭으로 EC2 인스턴스의 home/ubuntu/sparta 폴더에 업로드하자. 그리고 - 실행!! python app.py pip로 패키지를 설치하기 file → setting →.. 에서 + 버튼 누르고 설치했던 작업을, 명령어로 하면 이렇게 된다. pip install flask 다시 python app.py 입력해 보면 pymongo가 깔려 있지 않다는 메시지가 뜬다. 패키지들도 설치하기 pip install pymongo dnspython flask 서버를 실행해보기 아래 명령어로 fl..
Flask 서버 실행해보기전에 만들었던 팬명록 완성본을 filezilla로 EC2에 업로드해보자. 파일질라에서 homework 폴더 안에 app.py 파일, static, templates 폴더를 컨트롤키를 누른 상태에서 선택하고 드래그 드롭으로 EC2 인스턴스의 home/ubuntu/sparta 폴더에 업로드하자. 그리고 - 실행!! python app.py pip로 패키지를 설치하기 file → setting →.. 에서 + 버튼 누르고 설치했던 작업을, 명령어로 하면 이렇게 된다. pip install flask 다시 python app.py 입력해 보면 pymongo가 깔려 있지 않다는 메시지가 뜬다. 패키지들도 설치하기 pip install pymongo dnspython flask 서버를 실행해보기 아래 명령어로 fl..
2022.09.27 -
서버에 이런저런 세팅들(업그레이드, DB설치, 명령어 통일 등)을 해줘야 본격적으로 이용할 때 편리하다! 리눅스 접속하는 방법 EC2 한방에 세팅하기 # python3 -> python sudo update-alternatives --install /usr/bin/python python /usr/bin/python3 10 # pip3 -> pip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y python3-pip sudo update-alternatives --install /usr/bin/pip pip /usr/bin/pip3 1 # port forwarding sudo iptables -t nat -A PREROUTING -i eth0 -p tcp --dport 80..
서버 세팅하기서버에 이런저런 세팅들(업그레이드, DB설치, 명령어 통일 등)을 해줘야 본격적으로 이용할 때 편리하다! 리눅스 접속하는 방법 EC2 한방에 세팅하기 # python3 -> python sudo update-alternatives --install /usr/bin/python python /usr/bin/python3 10 # pip3 -> pip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y python3-pip sudo update-alternatives --install /usr/bin/pip pip /usr/bin/pip3 1 # port forwarding sudo iptables -t nat -A PREROUTING -i eth0 -p tcp --dport 80..
2022.09.27 -
"웹서비스 론칭"에 필요한 개념 소개 내가 만든 프로젝트를 배포해보자. 배포는 누구나 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작업들이고, 웹 서비스를 론칭하는 것! 웹 서비스를 론칭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항상 응답해줄 수 있는 서버에 프로젝트를 실행시켜준다. 언제나 요청에 응답하려면? 컴퓨터가 **항상** 켜져 있고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있어야 하고, 모두가 접근할 수 있는 공개 주소인 공개 IP 주소(Public IP Address)로 나의 웹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서버는 그냥 컴퓨터라는 거 기억나시죠? 외부 접속이 가능하게 설정한 다음에 내 컴퓨터를 서버로 사용할 수도 있다. AWS라는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편하게 서버를 관리하기 위해서 항상 켜 놓을 수 있는 컴퓨터인 EC2 ..
프로젝트 서버에 올리기"웹서비스 론칭"에 필요한 개념 소개 내가 만든 프로젝트를 배포해보자. 배포는 누구나 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작업들이고, 웹 서비스를 론칭하는 것! 웹 서비스를 론칭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항상 응답해줄 수 있는 서버에 프로젝트를 실행시켜준다. 언제나 요청에 응답하려면? 컴퓨터가 **항상** 켜져 있고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있어야 하고, 모두가 접근할 수 있는 공개 주소인 공개 IP 주소(Public IP Address)로 나의 웹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서버는 그냥 컴퓨터라는 거 기억나시죠? 외부 접속이 가능하게 설정한 다음에 내 컴퓨터를 서버로 사용할 수도 있다. AWS라는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편하게 서버를 관리하기 위해서 항상 켜 놓을 수 있는 컴퓨터인 EC2 ..
2022.09.26